마을소개

도천리(都泉里)

도천리(都泉里)는 마을이나 들 어디를 파보아도 냇모래가 나와 예전에는 영산에서 흘러내리는 도천천이 이 일대에 넓게 퍼져 흘렀다는 것을 증명해주며 어디를 파든 물이 많아 ‘샘(泉)’과 인연이 깊은 마을이다. 영산 신씨들이 집집마다 복숭아 나무를 많이 심어‘복숭아가 많고, 샘이 있다’하여 도천이라 불리었다 한다. 영산 신씨들과 분성 배씨들이 오래 살아와 그들의 재실이 있으며 재실에는 도지정문화유산자료인 열효신씨지려비석(烈孝辛氏之閭碑石)이 있다. 특히 임진왜란 때 영산의 의병장으로 크게 활약한 바 있는 문암(聞巖) 신초(辛礎)의 구택과 사당이 있으며, 또한 화왕산성 수성 때 곽망우당의 장서기(章書記)로 일한 모정(慕亭) 배대유(裵大維)의 별사(別詞)인 도천정사(都泉精舍)가 있다. 면사무소를 비롯하여 우체국, 농협과 도천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행정리로는 도천 1구, 도천2구 2개로 나뉜다.

일리(一里)

창녕군에서 유일하게 예부터 숫자를 쓴 특이한 마을이다. 대원군 때 서원 철폐령으로 폐원된 도천서원(都泉書院)과 막골산 남쪽 골짜기로 서재가 있었다. 도천천이 북쪽에 흐르고, 남쪽은 도천리, 동북은 영산면 죽사리와 경계를 이룬다. 행정리로는 일리 1개가 있다.

덕곡리(德谷里)

덕곡리(德谷里)는 도천면 동북쪽 끝으로 영산면과 부곡면 사이를 비집고 북으로 올라가있다. 높은 산이 북쪽부터 동과 남쪽에도 이어져 그 사이에 조금 크고 넓은 들을 이루는데 높은 산 사이의 큰 언덕을 이룬 골짜기라는 의미의 ‘덕곡, 덕실’로 불리었다 한다. 그러나 ‘덕(德)’이 ‘큰’보다는 ‘언덕’이라는 의미로 쓰여 ‘큰 골짜기’보다는 ‘언덕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 옳다고 본다. 행정리로는 덕곡 1구, 덕곡 2구 2개로 나뉜다.

예리(禮里)

도천면의 동북인 예리(禮里)는 신라 때 서화현(西火縣)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서부실이 있는 곳으로 도덕봉 줄기가 뻗어내려 들과 골짜기를 만든 곳에 위치하여 있다. 덕실에서 흘러 내려오는 내가 서부실과 새터로 흐르면서 이루는 들은 논리 앞을 지나 오호리와 송진리까지 이어지며 땅 역시 기름져 오곡이 잘 자란다. 『호구총수』에는 모례리(慕禮)라고 불리었으며 1914년 모리(慕禮)와 새터(新基, 新禮)가 병합되면서 ‘모(慕)’가 떨어져나가고 예리(禮里)가 되었다. 모리, 모례는 마을, 나라를 뜻하는 고어 ‘모라(牟羅)’라고 추측된다. 행정리로는 예리 1구, 예리 2구 2개로 나뉜다.

어만리(於萬里)

어만리(於萬里)는 길곡면과 경계를 이룬 도천면의 동남부이다. 석천산의 서쪽 아래 있는 늘어진 산줄기 계곡에 마을이 있다. 신라 때 크게 번성하였다고 구전되는 큰 동리로 일만여 호가 살아 어만리라 한다. 행정리로는 어만리 1개가 있다.

논리(論里)

도천면의 중심에 자리잡은 마을이다. 북과 서쪽에는 도천리와 일리, 동쪽에는 예리와 어만리, 남쪽에는 송진리와 우강리가 접하고 있다. 논리의 예전 지명은 ‘도론골(도는 골)’이었다. 옛길이 들을 건너와서 영산으로 나가면서 산길이 휘어져 모퉁이를 돌아 나가게 됨에 따라 ‘도는 골’이라 했던 것이 ‘도론골’이 되고, 경술국치 때에 앞글자가 탈락되고 논리(論里)가 된 것이다. 행정리로는 논리 1개가 있다.

우강리(友江里)

도천면의 남부인 우강리는 낙동강과 서, 남으로 닿아 있어 홍수피해가 많았던 마을이다. 낙동강 강변에는 망우당 곽재우장군이 만년을 보낸 망우정과 도지정문화유산자료인 충익공망우당곽재우유허비(忠翼公忘憂堂郭再祐遺墟碑)가 있으며 망우정 주변에는 임진왜란 때 곽장군이 성을 쌓고 다섯 가지 횃불로 왜군과 대치하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는 우강산성 등 전승지가 있다. 또한 곽장군과 진지를 누비었던 말이 죽자 묻었다는 말무덤이라는 큰 고분이 있다. 우강리는 효우촌(孝友村)과 요강원(要江院)으로 나누어져 있었으나 합해지며 양쪽 지명을 한자씩 따모아 우강리가 되었다. 효우촌은 효자가 많이 났고 앞으로도 많이 나리라는 의미이며, 요강원은 초선초기에 요강원(要江院)이라는 원(院, 여관)이 있어서 생긴 지명이다. 요행정리로는 우강 1구와 우강2구 2개로 나뉜다.

송진리(松津里)

낙동강 북쪽 강변에 있는 송진리는 예전부터 쇠나리라 불린 나루터였다. 쇠나리가 한자로 ‘송진(솔나루, 松津)’로 쓰인 것이다. 송진리에는 조선시대 때 세곡을 모아 놓던 조창이 있었다. 그래서 세곡을 싣는 나루이며 배를 매어 두었던 나무가 소나무 말뚝이어서 ‘솔나무-쇠나루-쇠나리’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임진왜란 때는 영산을 지키는 관문으로 관군이나 의병들이 진을 쳤던 곳으로 나루보다는 군사기지의 역할을 했다. 또한 이곳은 도천면에서 국가유산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관음사(觀音寺)에는 도지정문화유산자료 제22호 관음사 석등(觀音寺 石燈)을 비롯하여 관음사 미륵존불상(觀音寺彌勒尊佛像), 창녕 관음사 아미타불회도(昌寧 觀音寺 阿彌陀佛會圖), 도천삼층석탑(都泉三層石塔)을 보유하고 있다. 행정리로는 송진 1구, 송진 2구, 송진 3구 3개로 나뉜다.


담당부서
도천면 총무팀
문의
055-530-6981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