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소개

왕산리(旺山里)

왕산리는 옛 지포면의 지역으로 미산촌(眉山村)이라 불리었다. 대지면의 동부로 어물리들이란 넓은 들을 앞에 두고 있어 예전부터 쌀농사가 주종인 마을이다. 마을 북쪽의 산에 커다란 고분이 있는데 이것이 왕메(王山)로 불림에 따라 산 이름이 왕개등이라 불리게 되었고, 왕개등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왕미라 불리었고 왕산(旺山)이라 음차된 것이다. 행정리로는 미산, 왕미 2개로 나뉜다.

모산리(牟山里)

모산리는 대지면의 중앙부로 대지면사무소와 우체국, 농협 등이 있는 마을이다. 마을 서편 대지초등학교 쪽에 보리바우라 불리는 바위가 있는데 바위들의 생김새가 자그마하면서도 수십개가 밀집되어 있어 보리알과 같이 통실통실하여 사람들이 보리방우라 불렀고, 보리방우(麥岩)가 있는 마을이라 ‘맥산(麥山)’이라 불리던 것이 후에 ‘모산(牟山)’으로 변하였다. 창녕 성씨의 시조묘와 물계서원이 위치해 있으며, 행정리로는 원동과 모산 2개로 나뉜다.

석리(石里)

석리는 대지면의 북부에 있는 마을로 대합면 소야리 월령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돌실, 석실, 석동 등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동리 앞에 큰 바위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큰 바위가 마치 마을의 문과 같아 보였으므로 석문동(石門洞)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경상남도문화유산자료인 창녕석리 성씨고가가 있고 양파 시배지로 알려져있다. 행정리로는 김천과 석동 2개로 나뉜다. ※ 시배지 : 처음으로 식물을 심어 가꾼 곳

창산리(蒼山里)

창산리는 대지면의 북서부 마을로 예전 대초면의 지역이었다. 토평천이 남쪽 멀리 흘러가는데 마을과 토평천 사이에 넓은 들이 형성되어 있다. 마을 뒤 칠봉산(七峰山)이 있는데 이 산이 동서로 길게 뻗어 그 서쪽 끝이 창처럼 뾰족하게 생겼으므로 마을 이름을 ‘창미(槍뫼)’로 부르고 뒤에 한자로 창산(蒼山)이라 쓰여지게 되었다. 행정리로는 창산 1개가 있다.

효정리(孝亭里)

효정리는 구 대초면 소림촌(蘇林村)으로 대지면의 중동부에 동서로 길게 걸쳐있는 법정리이다. 현재의 내효정에 장(張)씨가 살았는데 그 며느리가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하며, 밤나무 숲과 정자나무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효도 孝’에 ‘정자 亭’을 붙여 마을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창녕고등학교가 있으며, 행정리로는 미락, 귀동, 소림, 효정 4개로 나뉜다.

본초리(本招里)

구 대초면의 면소재지로 현 대지면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대초면의 소재지라 하여 본대초촌(本大招村)이라 하였는데 1914년 군면폐합 시에 대를 빼고서 본초리라 한 것이다. 대초면의 소재지는 대출이라고도 불렸는데 대출은 대초의 와전으로 보이나 마을 앞에 길게 골짜기가 뻗어나가 있어 크게 나갔다하여 ‘대출(大出)’이라 불린 것으로 보여진다. 행정리로는 관동, 예동, 대초, 학성 4개로 나뉜다.

구미리(九尾里)

구미리는 대지면의 남부로 창녕읍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돌말리 서쪽에 거북과 같이 생긴 산이 있어 ‘거북 구(龜)’를 써서 ‘龜뫼’라고 부르게 되었다. 마을이 있는 곳이 거북의 꼬리부분에 해당된다하여 ‘꼬리 미(尾)’를 썼다는 설도 있으나 미(尾)는 산의 옛말 ‘뫼’의 음차로 보인다. 거북 구(龜)는 획수가 많이 쓰기에 불편하므로 예전부터 흔히 ‘아홉 구(九)’를 혼용하여 왔는데, 일제강점기 때 ‘구(龜)’를 ‘구(九)’로 고쳤다고 한다. 행정리로는 구미 1개가 있다.

용소리(龍沼里)

용소리는 구 대초면의 헌대촌(憲垈村)으로 불리었었다. 대지면 남부로 창녕읍 신촌리, 용석리 등과 경계를 이루며 들판을 사이에 두고 있다. 이쪽은 용소리, 들 건너 창녕 땅은 용석리라 불리니 이는 용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깊은 늪(소, 沼)들이 많아 붙여진 지명들이다. 이 용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늪들은 이제 퇴적토로 메워져 사라졌다. 토마토, 파프리카의 주산지이며, 행정리로는 용소와 세거리 2개로 나뉜다.


담당부서
대지면 총무팀
문의
055-530-6821

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 참여하기